평범한 이야기

[리눅스Linux] 내가 활용해 본 명령어 본문

컴퓨터 속 이야기/Linux

[리눅스Linux] 내가 활용해 본 명령어

SophyBliss 2021. 2. 9. 22:45
반응형

1. root 로 이동 

cd /

 

2. Permision 확인하는 방법

ls -l

 

3. chmod  읽기/쓰기/실행  파일권한(Permision) 주기 (8진수)

chmod    [변경될(적용될) 권한값]   [파일명 또는 디렉토리명]

파일의 권한은 USER(소유자), GROUP(그룹), OTHERS(일반사용자) 로 세 그룹이 존재하며,

각각 READ(읽기), WRITE(쓰기), EXECUTE(실행) 의 권한이 존재함.

 

Directory 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는 것

chmod  777  test.txt File 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는 것

8진수로 적용하는 방법

r : 4

w : 2

x : 1

권한없음 : 0

 

예시

chmod    755  test.txt      ->   test.txt  파일의 권한을 소유자(rwx),  그룹(r-x),  일반사용자(r-x)
chmod    420  test.txt     ->   test.txt  파일의 권한을 소유자(r--) ,  그룹(-w-),  일반사용자(---)  

4. touch (간단하게 0byte 파일 생성할 때)

touch    [파일명] 
touch  test.txt

 

5. cat  파일 내용 읽기

cat>[파일명]
cat>test.txt

 

6. vi 파일 내용 수정 (편집기)

vi  [파일명]
vi  test.txt

 

7. scp 파일 전송

scp   [파일명]  계정@서버주소:/ㅇㅇㅇ/ㅇㅇㅇ/(경로)
scp   test.txt  root@111.111.1.111:/home/test/

참고 : zetawiki.com/wiki/%EB%A6%AC%EB%88%85%EC%8A%A4_scp_%EC%82%AC%EC%9A%A9%EB%B2%95

 

리눅스 scp 사용법 - 제타위키

다음 문자열 포함...

zetawiki.com

8. pwd  현재 작업 폴더 위치 확인

pwd

 

반응형